인턴 · 모든 회사 / 모든 직무
Q. 전력변환장치 연구개발 직무 정출연 or 사기업 인턴
안녕하세요, 앞을 진로를 전력변환 관련 직무로 학사 RnD를 생각하고 있습니다. 학사 연구 개발 직무는 학위로 많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기에, 여러가지 활동들을 하며 준비하려 합니다. 준비하려 하는 활동 중, 인턴 활동도 포함되어 있는데 정부출연연구기관을 곳을 알게 되어 질문드립니다. 전기자동차나 방위산업에서의 전력변환 연구개발이나 시험평가직무를 목표로 할 때, 정출연 인턴 경험과, 일반 사기업 인턴 경험 중 어느 경험을 더 높게 평가 받을 수 있을까요? 또 다른 질문으로는 현재 학교에서 연계전공으로 전기자동차와 관련된 전공을 수강중입니다. 이와 동시에 전기자동차 전력변환 연구실에서 학부연구생을 하고 있는데 이러한 경험으로 방위산업 전력변환 장치 연구개발 직무로 지원해도 경쟁력이 있을지 궁금합니다.
2025.03.25
답변 0
아직 등록된 답변이 없어요.
undefined님! 첫 답변을 남겨보세요.
함께 읽은 질문
Q. 공정,생산기술 직무는 연구 장비 교육과 자동화 교육 중 어떤게 더 도움이 될까요?
신소재공학을 전공하고, 이차전지쪽 생산, 공정기술 엔지니어를 희망하고 있습니다. 공정자동화교육은 제조로봇에 대한 교육 및 PLC 프로그래밍, 데이터 프로그램을 다룹니다. 연구장비교육의 경우 전공수업에서 다루지 못했던 분석장비를 다루고 연구원에서 연구주제에 맞춰 개인이 장비를 골라 더욱 집중해서 실습할 수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두 교육의 분야가 다르다 보니 어떤 선택이 더 좋은지 조언해주시면 감사합니다. 소재전공이다보니 공정자동화 공정은 데이터 처리, 프로그래밍, 전산등,, 전기전자쪽이라 생각되어 회사입장에서 좋게 봐주실지 궁금합니다. 연구장비는 분석 역량을 쌓을 수 있지만 연구직무는 아니기에 고민됩니다.
Q. 현대자동차 전자공학과가 갈만한 직무가 뭐가있나요?
현재 전자공학과 재학중인 3학년입니다. 광전자 반도체 분야 학부연구생을 하고 있는데 현대자동차에 꼭 가고 싶습니다. 혹시 현대자동차에서 반도체 관련 직무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 수 있을까요?
Q. 삼성 채용 서류 대내외활동 및 기업명 기재
국내 연수활동으로 학회나 산업 전시회 같은 행사에 참석해서 보고 들은걸 간단하게 적어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따로 증빙이 안되는 활동이기 때문에 대내외활동에 명시하기엔 오버가 아닌가 싶고 자소서에 언급하는 정도에 그쳐야할 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자소서 작성 시에 기업명을 그대로 적어도 무방한가요?(ex) LG전자, SK하이닉스) 아니면 L사 S사 이렇게 적어야 할까요?
궁금증이 남았나요?
빠르게 질문하세요.